"빠르면 2년내 슬롯사이트 추천완료"…모아주택 착공 봇물

지난달 26일 1호 허가 이후
연내 서울서 18곳 첫삽 예상

규모 작아 인프라 불리해도
인센티브 많고 절차도 간편
공사비 갈등 줄일 수 있어 인기
재건축·재개발이 어려운 서울 노후 저층 주거지를 소규모로 개발하는 모아타운(모아주택) 슬롯사이트 추천이 올해부터 잇따라 공사에 들어간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이 슬롯사이트 추천을 도입한 지 2년여 만이다. 통합 인허가와 신속한 슬롯사이트 추천 추진으로 상대적으로 공사비 갈등이 적은 모아타운의 강점이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공사비 인상으로 비용 갈등이 커지고 절차가 지연되는 재건축·재개발 정비슬롯사이트 추천지와 대조를 이룬다.

광진구 첫 착공, 공사 잇따를 듯

4일 서울시와 정비업계에 따르면 연내 서울에서 약 18곳, 2677가구의 모아주택이 공사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됐다. 2022년 1월 강북구 번동 일대(조감도)를 첫 슬롯사이트 추천 후보지로 선정한 지 2년 만이다.

1호 착공지인 광진구 구의동 한양연립은 지난달 26일 착공허가를 받았다. 노후 저층 단지를 허물고 최고 15층, 215가구 규모로 다시 지어진다. 지난해 6월 ‘모아주택 슬롯사이트 추천시행계획 수립 기준’에 맞춰 통합심의를 받은 후 8개월 만에 첫 삽을 뜨게 됐다. HDC현대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아 2026년 8월 완공할 예정이다.

모아주택은 ‘빈집 및 소규모주택정비법’에 따라 다가구와 다세대 필지를 블록 단위(1500㎡ 이상)로 개발하는 정비슬롯사이트 추천 방식이다. 이 같은 모아주택을 여럿 모아 10만㎡ 이내에서 도시기반시설을 정비하는 게 모아타운이다. 대상지가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지역 전반에 대한 개발 계획을 세우고, 이를 참고해 모아주택 슬롯사이트 추천을 추진한다. 서울에서 지금까지 총 85곳이 모아타운 대상지(모아주택 123곳)로 선정됐다. 통합심의를 통과한 곳은 총 33개소(4506가구)로, 이 중 절반 이상이 연내 착공할 가능성이 높다.총 5개 구역으로 이뤄진 모아타운 시범슬롯사이트 추천지인 번동 일대(428의4·429의97 등)는 지난해 이주를 시작했다. 오는 7월께 착공을 예정하고 있다. 전체 구역 시공을 맡은 코오롱글로벌은 1차 슬롯사이트 추천을 통해서만 1242가구를 공급할 것으로 예상했다. 강남권인 송파구 오금동에서도 143·147구역이 연내 착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공동 시행사로 참여해 90가구씩 공급한다. 슬롯사이트 추천성이 좋아 올해 강남권 착공이 잇따를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3만 가구 목표 초과 달성할 듯”

소규모 정비슬롯사이트 추천인 모아주택이나 모아타운은 재건축 등 일반 정비슬롯사이트 추천에 비해 수요자나 시공사의 선호도가 떨어진다. 단지 규모를 비롯해 정주 여건, 커뮤니티시설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열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공사비 갈등으로 정비슬롯사이트 추천 조합 내, 조합과 시공사 간 갈등이 커지고 주택 부족 현상이 지속되자 모아타운의 빠른 슬롯사이트 추천 속도가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슬롯사이트 추천 기간이 짧다 보니 물가 변동과 이자 비용 등으로 인한 타격을 훨씬 작게 받는다”며 “대규모 정비슬롯사이트 추천에 비해 공사비 갈등이 적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정비계획 수립, 추진위원회 승인, 관리처분계획 인가 등 절차가 생략돼 2~4년 정도면 슬롯사이트 추천을 완료할 수 있다. 용적률과 층수 완화 같은 인센티브도 주어진다. 이주비·공사비 등 슬롯사이트 추천에 필요한 비용에 대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를 통해 2% 이자 지원(슬롯사이트 추천비 한정)을 받을 수도 있다.정부와 서울시가 규제 완화에 적극 나서는 것도 호재다. 서울시는 지난해 11월 기존 도시재생위원회에서 운영하던 통합심의위원회를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위원회로 개편했다. 건축·도시계획 심의뿐 아니라 경관·교통·재해·교육·환경영향평가까지 각종 심의 과정이 통합돼 심의 기간이 기존보다도 6개월 단축된다는 게 서울시 설명이다.

서울시는 용적률 추가 완화를 조건으로 구역 내 거주하는 세입자가 주거 이전 비용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서울시는 당초 목표였던 2026년 3만 가구 공급을 초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