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 공포·중동 불안…"코스피 2600선도 위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發 충격에 '살얼음판' 예고
일각 "저가 매수로 비중 늘려야"
일각 "저가 매수로 비중 늘려야"
뉴욕 증시가 또다시 ‘R(recession·경기 침체)의 공포’에 휩싸이자 이번주 국내 증시에도 미국발 충격이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지난 2일 코스피지수가 3.65% 급락하며 2700선이 무너졌는데, 일각에선 2600선마저 뚫릴 수 있다는 비관론이 나온다.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이 임박했다는 관측에 중동 정세가 불안해진 것도 우려를 더하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7월 29일~8월 2일)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2.04% 하락한 2676.19로 마감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는 2.29% 내렸다. 코스피지수가 종가 기준 2700선 아래로 내려앉은 건 6월 5일 후 약 2개월 만이다. 2일에는 4년5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미국과 한국 증시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2일 국내 증시가 마감한 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7월 고용보고서 쇼크에 뉴욕 증시가 급락하며 본격적인 조정 국면을 맞았기 때문이다. 같은 날 MSCI 한국 증시 상장지수펀드(ETF)가 2.71%, MSCI 신흥 지수 ETF는 1.42% 하락했다.
전문가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DB금융투자는 연내 코스피지수가 2300선까지 추락할 수 있다고 봤다. 이병건 DB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민간 소비가 부진한 가운데 인공지능(AI)산업에 거는 기대가 지나치게 컸다”며 “섣부른 추격 매수를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경기 침체 논란은 이제 막 시작됐다”며 “오는 9월 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전까지는 금리와 주가의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코스피지수 2600대 초반부터는 추가 하락세가 진정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코스피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8.82배 수준이다. 지난 10년간 코스피지수 PER이 10배 밑으로 내려간 것은 총 세 차례였다. 2018년 미·중 무역분쟁, 2020년 코로나19 유행, 2022년 미 중앙은행(Fed)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이 있었던 시기였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재 경기가 지난 세 차례의 경기 둔화 수준과 비슷한지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단기 등락이 더 이어질 수 있겠지만, 오히려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최만수/심성미 기자 bebop@hankyung.com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7월 29일~8월 2일)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2.04% 하락한 2676.19로 마감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는 2.29% 내렸다. 코스피지수가 종가 기준 2700선 아래로 내려앉은 건 6월 5일 후 약 2개월 만이다. 2일에는 4년5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미국과 한국 증시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2일 국내 증시가 마감한 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7월 고용보고서 쇼크에 뉴욕 증시가 급락하며 본격적인 조정 국면을 맞았기 때문이다. 같은 날 MSCI 한국 증시 상장지수펀드(ETF)가 2.71%, MSCI 신흥 지수 ETF는 1.42% 하락했다.
전문가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DB금융투자는 연내 코스피지수가 2300선까지 추락할 수 있다고 봤다. 이병건 DB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민간 소비가 부진한 가운데 인공지능(AI)산업에 거는 기대가 지나치게 컸다”며 “섣부른 추격 매수를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경기 침체 논란은 이제 막 시작됐다”며 “오는 9월 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전까지는 금리와 주가의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코스피지수 2600대 초반부터는 추가 하락세가 진정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코스피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8.82배 수준이다. 지난 10년간 코스피지수 PER이 10배 밑으로 내려간 것은 총 세 차례였다. 2018년 미·중 무역분쟁, 2020년 코로나19 유행, 2022년 미 중앙은행(Fed)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이 있었던 시기였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재 경기가 지난 세 차례의 경기 둔화 수준과 비슷한지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단기 등락이 더 이어질 수 있겠지만, 오히려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최만수/심성미 기자 bebop@hankyung.com
ⓒ 온라인 슬롯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